광양시, 윤동주를 알린 ‘백영 정병욱 선생 문화제’ 개최
전향윤 기자 chunjin1502@naver.com
2025년 09월 16일(화) 15:24
광양시, 윤동주를 알린 ‘백영 정병욱 선생 문화제’ 개최
[뉴스맘]광양시는 진월면발전협의회가 오는 9월 26일 오후 2시 달빛나루 종합복지센터 다목적강당에서 ‘백영 정병욱 선생 문화제’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윤동주 시인의 유고를 보존·전승한 인물로만 알려져 온 정병욱 선생의 삶과 학문적 업적을 새롭게 조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년 광양시 문화예술분야 지방보조사업’으로 진행되는 이번 문화제는 진월면발전협의회가 주관하고 광양시가 주최하며 광양시의회와 광양문화원이 함께한다.

행사는 광양 출신 이연화 명창의 판소리 공연으로 문을 열며, 강연과 토론으로 이어진다.

강연 주제는 ‘백영 정병욱 선생과 우리 문화 예술의 뿌리’로, △이성웅 전 광양시장(정병욱 선생 집안과 광양의 인연) △임주탁 부산대 교수(백영의 학문적 업적) △채희완 민족미학연구소장(백영의 풍류와 멋)이 발표를 맡는다.

토론에는 나종년 광양시문화해설사회 회장, 김용찬 순천대 교수, 손태도 한국전통공연예술학회장이 참여한다.

정병욱 선생(호 백영, 1922~1982)은 일제강점기였던 1922년 경남 남해군 설천면에서 태어났다.

1930년대에 부친 남파 정남섭 선생이 전남 광양 진월면 망덕리에 양조장을 차리면서 이곳으로 이주해 섬진강 변의 수려한 풍광과 지역 문화에 심취하며 소년기를 보냈으며, 이후 부산 동래고보(현 동래고등학교)와 연희전문학교(현 연세대학교)에 진학해 1940년 윤동주와 선후배로 만나 기숙사와 하숙에서 함께 생활했다.

연희전문 선배였던 윤동주는 졸업 기념 시집 발간을 추진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고, 정병욱 선생은 그의 한글 시집 원고를 망덕리 자택에 숨겨 보존했다가 광복 후 유고 시집 발간을 통해 세상에 알렸다. 정 선생의 부모가 운영하던 망덕리 양조장의 자택은 2007년 국가등록문화유산 ‘윤동주 유고보존 정병욱가옥’으로 등록돼, 현재도 관람객들이 시고 보존과 함께 두 사람의 우정을 접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정병욱 선생은 윤동주를 세상에 알린 숭모한 업적으로 널리 알려졌으나, 학자로서도 한국문학사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그는 부산대·연세대·서울대 국문학과 교수를 역임하며 한국고전문학 연구, 판소리 보존, 민족미학 탐구, 전통예술문화 진흥 등 학문과 문화예술 전반에 걸쳐 빛나는 업적을 이뤘다.

광양시와 진월면발전협의회는 이번 문화제가 정병욱 선생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새롭게 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최근 국제적으로도 주목받고 있는 ‘한국근대문학의 영롱한 빛’ 윤동주의 시를 세상에 전한 후배라는 인식을 넘어, 섬진강이 품고 있는 풍광과 인정 풍속, 문화적 정서를 바탕으로 국문학 연구의 금자탑을 세운 학자로서의 업적을 재조명하는 뜻깊은 자리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전향윤 기자 chunjin1502@naver.com
이 기사는 뉴스맘 홈페이지(newsmam.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newsmam.co.kr/article.php?aid=16303568589
프린트 시간 : 2025년 09월 16일 20:2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