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재 전남도의원, “과학적 진단·어장 복원 연구 확대돼야” 양식장 질병 대응과 어장 황폐화 회복 위한 실증 연구 촉구 전향윤 기자 chunjin1502@naver.com |
2025년 04월 23일(수) 10:29 |
|
박 의원은 최근 새우 양식장을 중심으로 보급되고 있는 ‘수산생물 질병진단 키트’와 관련해 “감염병은 사후 대응보다 사전 예방이 중요한 만큼, 새우 외에도 다양한 어종에 대해 질병 진단 키트를 연구·개발하여 현장에 보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에 보급되는 새우 질병 키트는 두 가지 주요 감염병을 동시에 진단할 수 있는 방식으로, 사전 감지 및 대응 역량을 높이는 데 활용되고 있다.
박 의원은 “조류독감이나 구제역처럼 확산 속도가 빠른 전염병을 경험한 만큼, 수산 분야도 지속적인 감시체계와 진단 기술 확보가 필수”라며 “해양수산과학원이 이러한 핵심 인프라를 주도적으로 마련해 달라”고 당부했다.
더불어 전남의 양식 어장 환경이 빠르게 황폐화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벌교 꼬막, 강진만의 개불과 바지락 등 지역 특산 자원이 사라지는 현상에 대해 과학적 원인 분석과 실증 실험을 병행해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박 의원은 “굴 껍질 등 패각을 미세하게 파쇄해 양식장에 살포하면 폐사율을 줄이고 환경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사례들이 있다”며 “전남에서도 실제 현장에 적용 가능한 패각 활용 실험과 적용 가능성 연구가 시급하다”고 제안했다.
이에 해양수산과학원 김충남 원장은 “올해부터 어장 환경 악화에 따른 원인 규명을 위해 환경분석 TF를 신설하고 관련 용역을 진행 중에 있다”라며, “패각을 활용한 환경 복원 방안도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적용 가능성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끝으로 박 의원은 “과학적 진단 기술과 어장 복원 연구는 전남 수산업의 미래를 결정짓는 핵심 과제”라며 “해양수산과학원이 연구 성과를 실제 어장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실용성과 체감도를 높여달라”고 당부했다.
전향윤 기자 chunjin1502@naver.com